올해 국내기업 2200여곳에 새로운 해외 진출기회가 제공된다. 부처 및 지자체별로 분산돼  운영 중인 해외전시회와 무역사절단을 전략적으로 통합·대형화해 지원 효과를 높이고 내실을 다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한국무역협회와 공동으로 ‘수출전략조정회의’를 열고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 성윤모 장관은 “각 부처·기관·지자체별로 추진 중인 수출지원을 위한 노력이 우리 기업들의 실질적인 수출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느 한 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중복과 비효율을 없애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해야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출전략조정회의가 대한민국 수출 정책의 방향타를 잡을 것”이라며 “분산된 수출 지원정책을 국가 차원의 관점에서 조정하는 한편, 수출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하는 수출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확정된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은 ▲글로벌 파트너링(GP) 강화 ▲해외전시회 통합한국관 운영 ▲전문무역상사 활성화 등 3대 분야 중심이며 기업이 체감할 수 있게 추진된다.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은 반도체·조선 등 위기업종, 신산업, 스타트업 등 3대분야를 중심으로 재편하고 구글·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의 오픈 이노베이션과 온-오프라인 유통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고도화한다.

아울러 글로벌 파트너링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 글로벌 파트너링 매칭 시스템’을 구축해 진성 바이어 정보를 수출기업에 적시 제공하고, KOTRA 및 유관기관의 해외 바이어 DB 통합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올해 2200여개사의 국내기업에게 새로운 해외 진출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수출 계약 실적이 6억달러 수준으로 대폭 증가(+43%)하도록 할 계획이다.

해외전시회·무역사절단 효율화와 관련해서는 우선 CES, 하노버메세 등 글로벌 유명 전시회 22개에 통합한국관을 구축해 운영하며, 올해 중 해외마케팅 정책협의회를 통해 통합 대상 전시회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예정돼 있던 65회의 무역사절단을 업종별·국가별로 통합해 총 32회 무역사절단으로 전문화·대형화 운영하기로 했다.

수출경험과 해외 네트워크가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대행하거나 지원해 주는 전문무역상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무역상사의 지원내용, 지정요건, 지원체계를 개선한다.

수출활력촉진단 등에서 제기된 기업의견을 바탕으로 무역보험·수출마케팅 등 전문무역상사에 제공되는 총 13개의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한다.

재외동포 기업, 해외조달 참여 기업, 전자상거래 수출 기업 등 다양한 해외 네트워크를 보유한 기업들이 전문무역상사로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전문무역상사 지정요건은 완화한다.

이달 중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고도화를 통해 전문무역상사-제조기업간 양방향 정보 제공과 상호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매칭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문무역상사 지정 기업을 350개(+30%)로 확대하고, 수출대행 실적도 60억달러 수준으로 확대(+30%)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수출활력상황실이 단순 수출애로 접수·전달 기능을 넘어 수출상황을 종합점검하면서 수출애로를 해소하고 실제 수출성과로 이어지도록 밀착지원하는 비상관리체제로 운영될 수 있도록 그 기능과 인력을 대폭 보강한다.

산업정책과 연계한 근본적 수출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

정부는 지난해 말 수립한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신전략’을 바탕으로 시스템반도체 육성 방안 등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수출경쟁력을 강화해 경쟁국과의 초격차를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헬스, 미래차, 소재·부품·장비, 항공, 섬유 등 분야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상반기 중 마련하고, 14개 지역활력 회복 프로젝트를 추진해 산업구조와 수출경쟁력을 한 차원 높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 포커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